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E D R , A S I H C RSS

"분류:조선 태조"을(를) 전체 찾아보기

분류:조선 태조


역링크만 찾기
검색 결과 문맥 보기
대소문자 구별
  • 경순왕 . . . . 30회 일치
         '''신라 김씨'''(新羅 金氏){또는 '''계림 김씨'''(鷄林 金氏)} 시조 [[김알지]]의 7대손인 미추왕(신라 13대)에 이르러 비로서 왕위에 오르게 됨으로써, 신라 마지막 왕인 경순왕(알지의 28세손)이 [[935년]] 11월 [[고려 태조]] 왕건에게 나라를 손국하기 까지 38명이 왕위를 계승하였다.
         [[931년]] 고려 [[고려 태조|왕건]]의 알현이 있었는데, 수십일을 머물면서 왕건은 부하 군병들에게 정숙하여 조금도 범법하지 못하게 하니, 왕경의 사녀(士女)들은 전번 견훤이 왔을 때에는 승냥이와 이리를 만난 것 같았으나, 이번 [[고려 태조|왕건]]이 왔을 때에는 부모를 만난 것 같다고 하였다.<ref name="nate01"/> [[고려 태조|왕건]] 일행이 [[경주]]를 방문한 어느 날에는 그는 [[고려 태조|왕건]]의 손을 붙잡고 [[견훤]] 때문에 살 수가 없음을 하소연하며 통곡하기도 했다.
         [[935년]] 11월 경순왕이 시랑(侍郞) 김봉휴(金封休)시켜 항복 국서를 [[고려 태조]]에게 받치니 천년([[기원전 57년]] ~ [[935년]])의 [[신라]](新羅)는 멸망했다.
         [[935년]] 11월 [[고려 태조]]는 태상(太相) 왕철(王鐵) 등을 보내 경순왕을 맞이하도록 하였다. 경순왕이 백관을 거느리고 서라벌을 출발하여 고려에게 가는데 향나무 수레와 구슬로 장식한 말이 30여 리에 이어지니, 길이 막히고 구경하는 사람들이 담장을 친 것과 같았다. [[고려 태조|태조 왕건]]이 교외에 나와 경순왕을 영접하여 위로하며, 궁궐 동쪽의 제일 좋은 구역(지금의 정승원(正承院))을 내주어 머물도록 하였다.
         또 [[고려 태조|태조 왕건]]은 장녀인 [[낙랑공주 (고려)|낙랑공주]] 왕씨를 경순왕의 아내로 삼게 하였는데, 경순왕이 자기 나라를 버리고 남의 나라에 와서 살기 때문에 이름을 고쳐 신란공주(神鸞公主)라 하고, 시호는 효목(孝穆)이라 했다. 아홉째 딸인 '부인 왕씨'(夫人 王氏)도 아내로 삼게 하였다.
         [[고려 태조|태조 왕건]]도 경순왕의 백부 김억렴(金億廉)의 딸을 아내로 맞이하였는데, 그녀가 제5왕후인 [[신성왕후]] 김씨이다. 슬하에 왕욱(王郁)을 두었으며, 왕욱(王郁)의 아들이 고려 제8대 왕 [[고려 현종]]이다.
         이후 경순왕은 첫째딸을 [[고려 태조]]의 손자인 [[고려 경종|경종]]에게 출가시켰는데, 그녀가 [[헌숙왕후]](獻肅王后) 김씨이다. 이 일로 [[고려 경종|경종]]은 그를 특별히 배려하여 상보령(尙父令)으로 삼고 식읍과 녹봉을 더해 주었다. 그는 [[고려 태조]]부터 [[고려 혜종]]·[[고려 정종|정종]]·[[고려 광종|광종]]·[[고려 경종|경종]]대까지 5대에 걸쳐 살았으며, [[고려 태조|태조 왕건]]이 죽은 후에도 왕 다음으로 높은 존재로 인식되고 그 영향력이 컸다.
         ** 제1후비: [[낙랑공주 (고려)|낙랑공주]](樂浪公主) 왕씨(王氏), 일명 [[낙랑공주 (고려)|안정숙의공주]](安貞淑義公主) - [[고려 태조|태조 왕건]]의 첫째 딸
         ** 제2후비: '부인 왕씨'(夫人 王氏) - [[고려 태조|태조 왕건]]의 아홉째 딸<ref>[[고려 태조|태조 왕건]]과 [[성무부인|성무부인 박씨]] 소생의 딸, 외조부 호족 박지윤(朴智胤)</ref>
         고려에 항복 후 경순왕은 첫째딸을 [[고려 태조]]의 손자인 [[고려 경종|경종]]에게 출가시켰는데, 그녀가 [[헌숙왕후]](獻肅王后) 김씨이다. 이 일로 인하여 그는 정승공(正丞公) 상보령(尙父令)에 봉해지고 식읍과 녹봉을 더 받았다.
         * 《[[태조 왕건 (드라마)|태조 왕건]]》([[KBS]], [[2000년]]~[[2002년]], 배우:[[신귀식]])
         ** [[고려 태조|태조]] ([[918년]] - [[943년]])
         |후임자 = (왕조 멸망)<br />([[고려 태조]])
         [[분류:생년 미상|경순왕]][[분류:978년 죽음|경순왕]][[분류:신라의 왕|경순왕]][[분류:고려의 귀족|경순왕]][[분류:고려의 문신]][[분류:불교도 군주|김부]][[분류:고려의 정치인]][[분류:경주 김씨]][[분류:경상북도 출신 인물]][[분류:병사한 사람]][[분류:고려 태조]][[분류:고려의 불교 신자]]
  • 박술희 . . . . 13회 일치
         '''박술희'''(朴述熙 또는 朴述希, ? ~[[945년]] [[10월 24일]]([[음력 9월 16일]]<ref>『[[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권2, [[고려 혜종|혜종]](惠宗) 2년(945) 9월 16일(기유)</ref>))는 [[신라]](新羅) 말기와 [[후삼국시대]](後三國時代, 사람이며, [[고려]](高麗) 초기의 [[무신]](武神)이다. [[고려 태조|태조]](太祖)의 측근 중의 한 사람이다. [[면천 박씨]](沔川朴氏)의 시조로 [[고려]]高麗) 전기의 무신(武神)이자, 개국공신으로 [[호 (이름)|시호]]는 엄의(嚴毅)이다. 대승(大丞) 득의(得宜)의 아들이다. [[눌지 마립간]](訥祗 麻立干)시대의 문신 [[박제상]](朴堤上)과 [[백결 선생]](百結 先生)의 후손이다.
         혜성(현재의 [[당진시|당진]])의 호족 출신으로 18세 때 [[궁예]]의 호위병이 되고, 뒤에 ([[고려 태조|태조]])의 휘하로 들어와 그를 섬겨 많은 공을 세워 두터운 신임을 얻어 대광(大匡)이 되었다. [[고려 혜종|혜종]]을 정윤(왕태자)로 책봉할 때, [[장화왕후]]가 [[왕건]]의 의중을 박술희에게 전달하게 하여 [[왕무]]가 정윤이 되었으므로, 박술희가 [[왕무]]의 후견인이 되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935년]]에는 [[견훤]]을 탈출시키기 위한 작전의 일환으로 보이는 나주 탈환 작전에 [[홍유]]와 더불어 지원하였으나 백성의 마음을 얻기 힘들다는 것을 이유로 [[왕건]]은 그들 대신 [[유금필]]을 파견하였다. [[943년]] [[고려 태조|태조]]가 사망하기 직전에 [[고려 태조|태조]]로부터 군국대사(軍國大事)를 부탁받고, [[훈요십조]](訓要十條)를 전수받았으며, 자신의 [[군사]]력을 바탕으로 [[고려 혜종|혜종]]의 강력한 후원자가 되었다.
         [[고려 태조|태조]]가 아니면 유지되기 힘들었던 [[고려]] 초기의 불안한 정치 상황은 박술희에게는 불운이었다. 권력 투쟁의 과정에서 박술희는 [[고려 정종 (3대)|정종]]와 그를 지지하는 [[서경 (고려)|서경]] 세력에 의해 [[강화군|강화]] 갑곶으로 귀양을 가게 되어 얼마 후 조정의 밀명을 받은 자객에 의해 살해당했다.
         * 《[[태조 왕건 (드라마)|태조 왕건]]》([[KBS]], [[2000년]]~[[2002년]], 배우:[[김학철 (배우)|김학철]])
         [[분류:암살된 사람]][[분류:생년 미상]][[분류:945년 죽음]][[분류:신라의 왕족]][[분류:태봉의 군인]][[분류:고려의 무신]][[분류:고려의 정치인]][[분류:고려 태조]][[분류:고려 혜종]][[분류:경상북도 출신 인물]][[분류:면천 박씨]]
  • 이금서 . . . . 12회 일치
         |배우자= 신란궁부인 김씨(고려 태조 외손녀, 신라 경순왕 3녀)
         |친척= [[신라]] [[경순왕]](장인), [[낙랑공주 (고려)|낙랑공주 왕씨]](장모, 고려 태조 장녀), 대안군 [[김은열]](처남, 신라 경순왕 4남)
         [[고려]] 조정에 출사하여 [[고려 태조|태조]](太祖) 때 삼한공신(三韓功臣)에 녹훈되었다.
         [[신라]] 때 중원태수(中原太守) 호부랑중(戶部郞中)을 역임하고, [[935년]](신라 경순왕 8년) 11월 [[신라 경순왕]]이 [[고려]]에 귀순할 때 함께하였다고 한다. [[고려 태조|태조]] 때 개국공신 삼한공신에 책록되고, [[고려]]조에 출사하여 광록대부를 역임하였다.
         [[이제현]](李齊賢)의 묘지명(墓誌銘)에 의하면 "신라왕 김부(金溥 : 敬順王)가 국토를 바치고 고려 조정에 들어와 태조(太祖)의 딸인 [[낙랑공주 (고려)|낙랑공주]](樂浪公主)에게 장가들어 딸<ref>신란궁부인 김씨이다. [[낙랑공주 (고려)|낙랑공주 왕씨]]는 출가 후 신란궁부인으로 불렸는데, 그 딸인 김씨가 다시 신란궁부인에 봉작되었다.</ref>을 낳았으니 금서의 아내가 되어 윤홍을 낳았으며" 라고 기록하고 있으며, 또 이윤홍이 '신라말' 병정(兵正)을 했다는 기록을 들어 연대상 문제점을 지적하기도 한다.<ref>이에 대해 경주이씨 대종보 총편에 '고려 초 관제에 병부령(兵部令)을 설치할 때 병정(兵正)을 두었고 품계는 재상(宰相)과 같다.'고 설명하고 있다.</ref> 그러나 이금서가 중원태수(中原太守) 호부랑중(戶部郞中)으로 고려에서 처음 벼슬을 시작했고, 그 아들 이윤홍의 병정(兵正) 벼슬과 관련하여 고려 초 관제에 병부령(兵部令)을 설치하면서 병정(兵正)을 두었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이윤홍의 병정(兵正) 벼슬은 고려 초의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경주이씨 세보에 의하면, 이금서는 [[고려]]조정에 처음 출사하였다 한다. 또한 [[고려 태조|태조]] 때 [[고려]]의 삼한공신에 책록되었다. 그런데 [[경순왕]]이 [[고려]]에 귀부하면서 [[고려 태조]]의 장녀인 [[낙랑공주 (고려)|신란궁부인]](神鸞宮夫人) 일명 [[낙랑공주 (고려)|낙랑공주 왕씨]]와 혼인한 것을 고려할 때, 여기서 태어난 [[경순왕]] 3녀 김씨가 이금서와 혼인할 연령이 되려면 [[경순왕]]이 [[고려]]에 귀부한 이후 15여 년 이상의 시간이 필요하고, 여기서 태어난 이금서의 아들들이 활약할 연령이 되려면 15여 년 이상의 시간이 더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이금서의 아들들이 [[경순왕]]의 [[고려]] 귀부 이전에 활약했다는 기록들은 이러한 사실과 30여 년 이상의 연대상 오차가 생기게 된다.
         [[고려사]]와 [[고려사절요]]에 이금서(李金書)의 증손자 [[이주좌]](李周佐)를 한미한 가문 출신으로 기록하고 있어 논란의 여지가 있다. 이주좌의 증조부 이금서(李金書)는 중원태수 호부랑중을 역임하고 고려 태조의 외손녀이며 신라 경순왕의 딸인 신란궁부인 김씨와 혼인하였고, 조부 이윤홍은 병정(兵正)을 역임하였는데, 비록 부친 이승훈(李承訓)이 칠품 관직인 정조시랑(正朝侍郞)에 그쳤다고 한미한 가문이라고 볼 수 있는가 하는 점 때문이다.
         ** 장모 : [[낙랑공주 (고려)|낙랑공주 왕씨]](고려 태조의 장녀)
  • 효령대군 . . . . 12회 일치
         * 조부 : [[조선 태조|태조]](1335~1408)
         [[분류:1396년 태어남]][[분류:1486년 죽음]][[분류:사상가]][[분류:조선의 왕자]][[분류:조선의 왕족]][[분류:조선의 정치인]][[분류:조선의 학자]][[분류:조선의 승려]][[분류:조선의 작가]][[분류:조선의 저술가]][[분류:한국의 불교사]][[분류:유교 이탈자|이보]][[분류:조선의 불교 신자]][[분류:조선 세종]][[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조선 태종]][[분류:전주 이씨]]
  • 홍순언 (1530년) . . . . 11회 일치
         [[종계변무]]란 조선 건국 때부터 선조 때까지 2백여 년간 명(明)나라의 《태조실록》(太祖實錄)과 《대명회전》(大明會典)에 잘못 기록된 태조(太祖) 이성계(李成桂)의 세계(世系)를 시정해 달라고 주청하였던 사건이다. 태조때부터 시정을 위해 사신을 15회나 파견하였지만 전부 거절당하였다. 지속적으로 거부당하자 조선 14대임금인 선조는 “종계변무를 이번에 성사시키지 못하면 목을 쳐버릴 것이다.”라고 엄포를 놓았다. 이에 역관들은 겁에 질려 선뜻 나서지 못했다.
         석성은 동방에도 그대와 같은 의인이 있었다며 후히 대접하였고, 황정욱과 그가 《대명회통》과 명나라 《태조실록》에 [[이인임]]의 아들 이성계로 기록된 내용이 잘못이고, 이성계는 이자춘의 아들임을 황제에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명나라의 대소관리들은 당대에 수정하지 않고 이제 와서 계속 번거롭게 구느냐며 의혹을 제기한다. 그러나 당시 예부상서였던 석성의 적극 건의로 개정되었다. 종계변무를 성사시킨 사절단은 귀국하였는데, 류씨 부인은 손수 짠, 보은 이라는 글자가 새겨진 황금 비단 1백 필을 그에게 주었다. 그러나 그는 이익을 취하기 위한 일은 장사치나 하는 것이라며 비단을 거절하고 귀국했다.
         [[분류:조선의 역관]][[분류:조선의 무신]][[분류:조선의 정치인]][[분류:조선의 외교관]][[분류:조선의 작가]][[분류:조선의 번역가]][[분류:임진왜란 관련자]]
         [[분류:조선의 공신]][[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남양 홍씨 (당홍)]][[분류:병사한 사람]]
  • 한명회 . . . . 10회 일치
         '''한명회'''(韓明澮, [[1415년]] [[11월 26일]] ([[음력 10월 25일]]) ~ [[1487년]] [[11월 28일]] ([[음력 11월 14일]]))는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군인, 정치인이며 외척이다. 1475년에서 1476년까지 1년간 조선국 상급 국상 지위를 지낸 그의 본관은 [[청주 한씨|청주]], 자(字)는 자준(子濬), 호는 압구정(狎鷗亭)·압구(狎鷗)·사우당(四友堂)이며, 별칭은 칠삭동이<ref>7개월만에 출생하여 생애 초기에 칠삭동이라는 별명으로 불렸다.</ref>, 시호는 충성(忠成)이다. 일찍이 [[조선 태조]]때 학사로 [[명나라]]에서 [[조선]]이란 국호를 받아온 [[개국공신]] [[한상질]](韓尙質)의 손자이자 [[증직|증]] [[의정부]][[영의정]]에 추증된 [[한기]](韓起)의 아들이고, 이조참판과 직제학을 지낸 [[여주 이씨]] [[이척]]의 외손자이자 [[대제학]] 이행의 증외손이다. [[조선 예종|예종]]의 원비 [[장순왕후]]·[[조선 성종|성종]]의 원비 [[공혜왕후]]의 친정아버지이다. [[조선왕조실록]]에 그 이름이 2300건이나 등장하는 인물이기도 하다. 한상환(韓尙桓), 류태재(柳泰齋)의 문인이다. [[한성부]] 출신.
         전설에 의하면 그가 태어날 때 배에는 태성과 두성 모양([[북두칠성]] 모양)의 점이 있었다고 한다. 할아버지 [[한상질]]은 [[조선]]의 [[개국공신]]이며 [[조선 태조]]때 학사로 [[명나라]]에 파견되어 [[영흥]]이라는 [[국호]]와 [[조선]]이란 국호 중 국호를 낙점받아왔다. [[한상질]]은 처음 [[경주 이씨]] [[문하시중]] 월성부원군(月城府院君) [[이성림]](李成林)의 딸과 결혼하였으나 딸만 1명 두고 요절하였으므로, 청풍송씨(淸風宋氏) 송신의의 딸과 결혼하여 1남 2녀를 두었으니, 아들이 곧 한명회의 아버지 [[한기]]이다.
         [[분류:1415년 태어남]][[분류:1487년 죽음]][[분류:종묘배향공신]][[분류:사상가]][[분류:음서]][[분류:조선의 군인]][[분류:조선의 문신]][[분류:조선의 정치인]][[분류:조선의 시인]][[분류:조선의 작가]][[분류:육군 군인]][[분류:한명회| ]][[분류:신숙주]][[분류:정난공신]][[분류:좌익공신]][[분류:익대공신]][[분류:좌리공신]][[분류:조선의 부원군]][[분류:병사한 사람]][[분류:부관참시된 사람]][[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청주 한씨]][[분류:한국의 장군]][[분류:조선 세조]][[분류:훈구파]][[분류:영의정]][[분류:쿠데타로 집권한 지도자]][[분류:조선의 불교 신자]][[분류:대량 살인자]]
  • 신성왕후 . . . . 9회 일치
         |배우자 = [[고려 태조|태조]]
         '''신성왕태후 김씨'''(神成王太后 金氏) 또는 '''신성왕후'''(神成王后)는 [[신라]]의 왕족 출신 [[고려]]의 왕후로 [[고려 태조]] 왕건의 제5왕후이다. [[신라]] [[신라 문성왕|문성왕]]의 후손으로 [[신라 경순왕]]은 그의 사촌 오라비였다. 그녀는 [[고려 안종|안종 왕욱]]의 생모이기도 하다. 본래는 왕후가 아니었으나, [[1010년]] [[고려 현종|현종]]에 의해 왕후로 추존되었다. 성은 김씨, 본관은 [[경주 김씨|경주]](慶州)이다.
         신성왕후 김씨는 [[신라]] 왕족이며, [[신라 문성왕|문성왕]]의 5대손이며, [[신라 경순왕|경순왕]]의 큰아버지 김억렴의 딸이다. 그녀가 태조의 다섯 번째 왕후가 된 것은 신라 [[경순왕]]이 [[고려]]에 항복한 935년 11월 직후부터 936년 초기가 될 것이다.
         935년 11월 신라의 마지막 군주 [[경순왕]]이 고려에 항복할 뜻을 표시하자, 고려 태조는 이에 대한 답례로 사신을 보냈다. 왕건은 “지금 왕이 나라를 과인(寡人)에게 주니 그 선물이 크도다. 바라건대 신라의 종실(宗室)과 결혼하여 생구(甥舅)의 친밀함이 오래 가고자 하노라.”라고 하여, 고려의 사신은 경순왕에게 태조가 신라 종실과의 혼사를 원한다는 사실을 전했고, 이에 경순왕은 “우리 백부(伯父) 김억렴(金億廉)에게 딸이 있어 덕(德)과 용모가 쌍미(雙美)한지라 이가 아니면 내정(內政)을 구비(具備)할 수 없을 것”이라며 자신의 사촌누이 김씨를 고려로 시집보냈다.
         *** '''남편''' : 제1대 [[고려 태조|태조]] 신성대왕(太祖 神聖大王, 877~943 재위: 918~943)
         [[분류:생몰년 미상]][[분류:신라의 왕족]][[분류:고려의 왕비]][[분류:고려의 왕태후]][[분류:경상북도 출신 인물]][[분류:경주 김씨]][[분류:고려 태조]]
  • 김굉필 . . . . 8회 일치
         [[분류:1454년 태어남]][[분류:1504년 죽음]][[분류:조선의 저술가]][[분류:조선의 문신]][[분류:조선의 유학자]][[분류:조선의 성리학자]][[분류:조선의 철학자]][[분류:조선의 교육인]][[분류:조선의 화가]][[분류:조선의 시인]][[분류:과거 급제자]][[분류:갑자사화 관련자]][[분류:무오사화 관련자]][[분류:연좌제]]
  • 김륵 . . . . 7회 일치
         [[분류:1540년 태어남]][[분류:1616년 죽음]][[분류:조선의 문신]][[분류:조선의 유학자]][[분류:조선의 작가]][[분류:조선의 임진왜란 관련자]][[분류:과거 급제자]][[분류:예안 김씨]][[분류:병사한 사람]][[분류:영천시 출신 인물]][[분류:조선의 정치인]][[분류:조선의 저술가]][[분류:조선의 화가]]
  • 김숙자 (1389년) . . . . 7회 일치
         김숙자는 12세 때부터 [[길재]](吉再)로부터 『소학』과 경서를 배우기 시작하였다. 역학에 밝은 당시 [[조선]] 유학자 별동 윤상(別洞 尹祥)이 황간현감으로 임명되어 내려와 있다는 소식을 듣고, 그를 찾아갔다. 걸어가서 배움을 청하자 윤상은 그 열의를 보고 『[[주역]]』의 깊은 뜻을 힘써 가르쳐주었다. 윤상은 다시 포은 [[정몽주]](鄭夢周)의 문하생 중 한 사람인 조용(趙庸)이 [[1392년]](태조 1) [[역성혁명]]을 반대하다가 [[예천]]에 유배되어 오자, 조말생(趙末生)·배강(裵杠) 등과 함께 조용을 찾아가 그를 사사하여 문인이 되었다. 김숙자는 [[길재]] 외에도 윤상의 문하에서 수학하면서 [[정몽주]]의 학통을 이었다. 그밖에 그는 조용, 김말 등과도 교류하였다.
         [[분류:1389년 태어남]][[분류:1456년 죽음]][[분류:고려 사람]][[분류:과거 급제자]][[분류:경상북도 출신 인물]][[분류:조선의 문신]][[분류:조선의 정치인]]
         [[분류:조선의 성리학자]][[분류:조선의 교육자]][[분류:사상가]][[분류:조선 세종]][[분류:조선 세조]][[분류:원종공신]][[분류:선산 김씨]]
  • 박승임 . . . . 7회 일치
         [[분류:1517년 태어남]][[분류:1586년 죽음]][[분류:조선의 문신]][[분류:조선의 정치인]][[분류:과거 급제자]][[분류:사상가]][[분류:조선의 유학자]]
         [[분류:조선의 철학자]][[분류:조선의 작가]][[분류:조선의 저술가]][[분류:조선의 시인]][[분류:경상북도 출신]][[분류:병사한 사람]][[분류:반남 박씨]]
  • 정칠성 . . . . 7회 일치
         [[분류:1897년 태어남]][[분류:1958년 죽음]][[분류:기녀]][[분류:여성 해방 운동가]][[분류:노예제 폐지론자]][[분류:한국의 자유주의자]][[분류:한국의 사회주의자]][[분류:한국의 혁명가]][[분류:일제 강점기의 작가]][[분류:일제 강점기의 무용가]][[분류:일제 강점기의 언론인]][[분류:일제 강점기의 여성주의자]][[분류:일제 강점기의 음악가]][[분류:일제 강점기의 철학자]][[분류: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공산주의자]][[분류: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여성주의자]][[분류: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분류: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철학자]][[분류: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무용가]][[분류:알렉산드라 콜론타이]][[분류:한국의 군정기]][[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여성 해방 운동]][[분류:조선공산당의 정치인]][[분류:남조선로동당]][[분류:월북자]][[분류:조선여성동우회의 인물]][[분류:근우회의 인물]][[분류:신간회의 인물]][[분류:허정숙]][[분류:박헌영]][[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
  • 한확 . . . . 7회 일치
         [[분류:1400년 태어남]][[분류:1456년 죽음]][[분류:조선의 문신]][[분류:조선의 정치인]][[분류:조선의 외교관]][[분류:조선의 저술가]][[분류:조선의 왕족]]
         [[분류:명나라의 황족]][[분류:음서]][[분류:조선 세종]][[분류:한명회]][[분류:청주 한씨]][[분류:병사한 사람]][[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정난공신]][[분류:좌익공신]][[분류:조선의 부원군]]
  • 해양군 . . . . 7회 일치
         [[분류:1620년 태어남]][[분류:1682년 죽음]][[분류:조선의 왕족]][[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병사한 사람]][[분류:조선의 무신]][[분류:전주 이씨]][[분류:운현궁]][[분류:조선 광해군]][[분류:조선 인조]][[분류:조선 효종]][[분류:조선 현종]][[분류:조선 숙종]]
  • 해원군 . . . . 7회 일치
         [[분류:1614년 태어남]][[분류:1662년 죽음]][[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조선의 왕족]][[분류:병사한 사람]][[분류:조선의 시인]][[분류:조선의 군인]][[분류:조선의 정치인]][[분류:조선의 화가]][[분류:조선의 서예가]][[분류:운현궁]][[분류:전주 이씨]][[분류:조선의 저술가]]
  • 헌경왕후 . . . . 7회 일치
         [[분류:1735년 태어남]][[분류:1816년 죽음]][[분류:조선의 추존왕후]][[분류:조선의 왕세자빈]][[분류:조선의 정치인]][[분류:조선 정조]][[분류:운현궁]][[분류:풍산 홍씨]][[분류:조선의 작가]][[분류:조선의 저술가]][[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병사한 사람]][[분류:한국의 자서전 작가]][[분류:18세기 한국 사람]][[분류:19세기 한국 사람]][[분류:조선 장조]]
  • 이현보 . . . . 6회 일치
         [[분류:1467년 태어남]][[분류:1555년 죽음]][[분류:조선의 문신]][[분류:조선의 시인]][[분류:영천 이씨]][[분류:경상북도 출신 인물]][[분류:조선의 정치인]][[분류:조선의 유학자]][[분류:조선의 작가]][[분류:조선의 저술가]]
  • 정도복 (고려) . . . . 6회 일치
         조선 태조 3년(1394년)에 가정대부(嘉靖大夫)로 승진 한성부우윤(漢城府右尹)이 되고, 이듬해 한성부좌윤(漢城府左尹) 겸 성균관대사성(成均館大司成)에 올랐다.
         [[분류:과거 급제자]][[분류:고려의 문신]][[분류:고려의 정치인]][[분류:조선의 문신]][[분류:조선의 정치인]][[분류:조선의 공신]][[분류:조선의 성리학자]]
         [[분류:봉화 정씨]][[분류:조선의 공신]][[분류:경상북도 출신 인물]]
  • 정성왕후 . . . . 6회 일치
         [[분류:1692년 태어남]][[분류:1757년 죽음]][[분류:조선의 왕세자빈]][[분류:조선의 왕비]][[분류:조선의 정치인]][[분류:조선 영조]][[분류:조선 정조]][[분류:서재필]][[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대구 서씨]][[분류:조선 진종]]
  • 김홍미 . . . . 5회 일치
         [[분류:조선의 문신]][[분류:조선의 정치인]][[분류:조선의 유학자]][[분류:성리학]][[분류:조선의 작가]][[분류:과거 급제자]][[분류:경상북도 출신 인물]][[분류:순직한 사람]][[분류:조선 선조]][[분류:임진왜란 관련자]]
  • 김효원 . . . . 5회 일치
         [[분류:1542년 태어남]][[분류:1590년 죽음]][[분류:조선의 문신]][[분류:조선의 정치인]][[분류:과거 급제자]][[분류:조선의 성리학자]][[분류:조선의 철학자]]
         [[분류:조선의 작가]][[분류:사상가]][[분류:허균]][[분류:성리학]][[분류:이황]][[분류:선산 김씨]][[분류:경상북도 출신]][[분류:병사한 사람]][[분류:사림파]][[분류:동인]][[분류:16세기 한국 사람]]
  • 윤휘 . . . . 5회 일치
         [[분류:1571년 태어남]][[분류:1544년 죽음]][[분류:조선의 문신]][[분류:조선의 정치인]][[분류:조선의 외교관]][[분류:서예가]][[분류:조선 광해군]][[분류:조선 인조]][[분류:병자호란 관련자]][[분류:정묘호란 관련자]][[분류:해평 윤씨]][[분류:경상북도 출신 인물]][[분류:병사한 사람]]
  • 윤흔 . . . . 5회 일치
         [[분류:1564년 태어남]][[분류:1638년 죽음]][[분류:조선의 문신]][[분류:조선의 정치인]][[분류:조선의 시인]][[분류:조선의 수필가]][[분류:조선의 작가]]
  • 정차온 . . . . 5회 일치
         [[분류:조선의 문신]][[분류:조선의 정치인]][[분류:조선의 성리학자]][[분류:조선의 철학자]][[분류:조선의 교육인]][[분류:경주 정씨]][[분류:경상북도 출신 인물]]
  • 홍영식 . . . . 5회 일치
         [[분류:1856년 태어남]][[분류:1884년 죽음]][[분류:혁명가]][[분류:과거 급제자]][[분류:조선의 문신]][[분류:조선의 정치인]][[분류:조선의 외교관]][[분류:우편]][[분류:우표]][[분류:조선의 작가]][[분류:조선의 시인]][[분류:혁명가]][[분류:한국의 혁명가]][[분류:갑신정변]][[분류:서재필]][[분류:윤치호]][[분류:유길준]][[분류:홍명희]][[분류:급진개화파]][[분류:사형된 사람]][[분류:살해된 사람]][[분류:부관참시된 사람]][[분류:남양 홍씨 (당홍)]][[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사상가]]
  • 흥친왕 . . . . 5회 일치
         [[분류:1845년 태어남]][[분류:1912년 죽음]][[분류:조선의 왕족]][[분류:조선의 정치인]][[분류:조선의 문신]][[분류:조선의 군인]][[분류:조선의 외교관|이희]]
  • 희빈 장씨 . . . . 5회 일치
         [[분류:1659년 태어남]][[분류:1701년 죽음]][[분류:조선의 후궁]][[분류:조선의 왕비]][[분류:조선의 정치인]][[분류:허목]][[분류:송시열]][[분류:폐위된 비빈]][[분류:사사된 사람]][[분류:자살한 사람]][[분류:사형된 사람]][[분류:의문사한 사람]][[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인동 장씨]][[분류:조선 숙종]][[분류:조선 경종]][[분류:희빈 장씨]][[분류:17세기 한국 사람]]
  • 곽월 . . . . 4회 일치
         [[분류:조선의 문신]][[분류:조선의 정치인]][[분류:조선의 성리학자]][[분류:병마절도사]][[분류:수군절도사]][[분류:조선의 저술가]][[분류:경상북도 출신 인물]][[분류:현풍 곽씨]][[분류:병사한 사람]]
  • 백남순 (1929년) . . . . 4회 일치
         [[분류:1929년 태어남]][[분류:2007년 죽음]][[분류:청도 백씨]][[분류: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람]][[분류:20세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람]][[분류: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장관]][[분류: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외교관]][[분류: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분류:사회주의자]][[분류:공산주의자]][[분류:수원시 출신]][[분류:김일성종합대학 동문]][[분류:병사한 사람]][[분류:폴란드 주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사]][[분류:월북자]][[분류:최고인민회의 대의원]]
  • 봉석주 . . . . 4회 일치
         [[분류:1465년 죽음]][[분류:과거 급제자]][[분류:조선의 무신]][[분류:조선의 정치인]][[분류:조선의 군인]][[분류:육군 군인]][[분류:한명회]][[분류:조선 세조]][[분류:신숙주]][[분류:병마절도사]][[분류:정난공신]][[분류:하음 봉씨]][[분류:충청북도 출신 인물]][[분류:참수된 사람]]
  • 오사충 . . . . 4회 일치
         선조는 [[경상북도]] [[포항시]] (延日縣) 출신이나 나중에 [[평안도]] [[녕원군|영원진]](寧遠鎭)으로 이사했다. [[1355년]](고려 [[공민왕]] 4) 문과에 급제하여 감찰규정·헌납(獻納)·집의(執義)를 역임하고, 창왕 때에는 좌사의대부로서 사전(私田)의 폐단을 상소하였다. 이해 공양왕이 즉위하자, 사인(舍人) 조박(趙璞) 등과 함께 상소하여 우왕과 창왕을 폐하여 서인으로 만들 것을 주장하고, [[이색]](李穡)·[[조민수]](曺敏修)·[[이인임]](李仁任)이 [[우왕]]·[[창왕]]을 옹립한 것을 탄핵하였다. 이와 같은 과격한 상소로 인하여 한때 관직을 삭탈당하였으나, 다시 복직되어 대사성을 거쳐 판전교시사(判典校寺事)가 되었다. 1392년(태조 1) [[정몽주]](鄭夢周)가 [[이성계]](李成桂) 일파를 몰아내려 할 때 그도 삭직되어 유배되었으나, 정몽주가 살해되자 풀려나와 좌상시(左常侍)가 되었다.
         [[분류:1327년 태어남]][[분류:1406년 죽음]][[분류:포항시 출신 인물]][[분류:연일 오씨]][[분류:영원 오씨]][[분류:고려의 문신]][[분류:조선의 문신]][[분류:고려의 정치인]][[분류:조선의 정치인]][[분류:조선의 개국공신]]
  • 이인민 . . . . 4회 일치
         [[1392년]] 7월 조선 건국 후 아들 이직(李稷)이 개국공신(開國功臣)ㆍ좌명공신이 되어 태조(太祖) 때에 성산부원군(星山府院君)에 추봉(追封)되었으며, 증 추충익대보조공신(推忠翊戴補助功臣) 대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영의정 겸 경연판이조사 감춘추관사(大匡輔國崇祿大夫議政府領議政兼經筵判吏曹事監春秋館事)에 [[추증]]되었다.
         [[분류:고려 사람]][[분류:고려의 문신]][[분류:조선의 문신]][[분류:이인임]][[분류:성주 이씨]][[분류:경상북도 출신 인물]][[분류:조선 태조]]
  • 장순왕후 . . . . 4회 일치
         [[분류:1445년 태어남]][[분류:1461년 죽음]][[분류:조선의 추존왕후]][[분류:조선의 왕세자빈]][[분류:한명회]][[분류:병사한 사람]][[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청주 한씨]][[분류:조선 예종]]
         [[분류:조선 인물]]
  • 전성군 (1488년) . . . . 4회 일치
         [[분류:1488년 태어남]][[분류:1543년 죽음]][[분류:음서]][[분류:조선의 왕족]][[분류:조선의 문신]][[분류:전주 이씨]][[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병사한 사람]][[분류:조선 중종]][[분류:조선 명종]]
  • 정선 (화가) . . . . 4회 일치
         [[분류:정선| ]][[분류:1676년 태어남]][[분류:1759년 죽음]][[분류:조선의 화가]][[분류:조선의 문신]][[분류:조선의 서예가]][[분류:조선의 작가]][[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광주 정씨]][[분류:18세기 화가]]
  • 정환덕 . . . . 4회 일치
         [[분류:1857년 태어남]][[분류:1944년 죽음]][[분류:조선의 문신]][[분류:조선의 왕족]][[분류:조선의 작가]][[분류:조선의 학자]][[분류:대한제국의 정치인]]
  • 태종무열왕 . . . . 4회 일치
         태종 무열왕에 대한 당대 신라인들의 평가는 매우 높았다. 이는 ‘태종(太宗)’이라는 묘호를 올린 것에서도 알 수 있는데, 이는 신라 역사상 최초이자 유일한 사례였다.<ref group="주">그러나 고구려의 [[태조왕]]의 경우에는 묘호로 봐야 되는가, 시호로 봐야 되는가에 대한 이견이 있다. 그 밖에 태조의 묘호를 받은 [[태조 성한왕]]이나, 국조의 묘호를 받은 [[박혁거세]]도 존재한다.</ref> 이에 대해 [[당 고종]]<ref group="주">《삼국사기》에는 [[당 중종]]이라 표기됨</ref>이 “당 태종이 위징(魏徵)·이순풍(李淳風) 등을 얻어 천하를 평정하는 대업을 이루었기에 태종이라 하였지만, 너희 신라는 바다 밖에 있는 조그만 나라임에도 태종의 호를 사용하여 천자의 칭호를 참칭하니 그 뜻이 불충하므로” 이를 고칠 것을 요구하자, 신라의 [[신문왕]](神文王)은 “(당 태종처럼) 무열왕도 김유신이라는 성신(聖臣)을 얻어서 삼한을 통일하는 대업을 이루었다”며 완곡하게 거절하는 답서를 보냈다. 이 답서를 받은 고종은 그가 태자로 있을 때 하늘에서 이르기를 “33천(天)의 한 사람이 신라에 내려가 유신이 되었다.”고 한 일이 있어서 이를 기록한 바가 있는데, 이 기록을 찾아 확인해보고서는 놀랍고 두려워서, 태종의 묘호를 허락했다고 한다.<ref name="유사-기이1"/> 훗날 [[조선]](朝鮮)의 성리학자 [[김종직]](金宗直)은 《[[동국여지승람]]》에 기록된 [[고려]](高麗)의 [[왕건|태조]](太祖) 이래 역대 군주들의 묘호를 시호로 대체하고자 하는 [[조선 성종|성종]](成宗)에게 태종 무열왕의 선례를 들며 굳이 기록된 묘호를 뺄 필요는 없음을 주장하였다.<ref>《성종실록》 성종 18년 정미(1487년) 2월 경진(10일)조</ref>
  • 현덕 . . . . 4회 일치
         [[분류:박헌영]][[분류:조선공산당의 정치인]][[분류:월북자]][[분류: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소설가]][[분류: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시인]][[분류: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동화작가]][[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연주 현씨]]
  • 홍국영 . . . . 4회 일치
         [[분류:1748년 태어남]][[분류:1781년 죽음]][[분류:조선의 문신]][[분류:조선의 왕족]][[분류:한국의 섭정]][[분류:조선의 정치인]][[분류:유교 신자]][[분류:과거 급제자]][[분류:풍산 홍씨]][[분류:병사한 사람]][[분류:조선 정조]][[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노론]]
  • 화완옹주 . . . . 4회 일치
         [[분류:1737년 태어남]][[분류:1808년 죽음]][[분류:조선의 옹주]][[분류:조선의 정치인]][[분류:가족 살해자]][[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병사한 사람]][[분류:조선 영조]][[분류:조선 정조]]
  • 경빈 박씨 (중종) . . . . 3회 일치
         [[분류:생년 미상]][[분류:1533년 죽음]][[분류:조선의 후궁]][[분류:조선의 정치인]][[분류:운현궁]][[분류:경상북도 출신 인물]][[분류:기묘사화 관련자]][[분류:사사된 사람]][[분류:밀양 박씨]][[분류:조선 중종]]
  • 김갑수(배우) . . . . 3회 일치
         TV 최초 출연작은 유인촌이 주인공으로 나오고 장미희 TV 복귀작으로 유명한 "역사는 흐른다"였다. 장미희를 사모하고 나중에는 독립투사로 변하는 천민 석하연기로 시청자들에게 인상을 남겼고 이후에도 특집극 찬란한 여명에서 개화승 이동인 연기, 영화 금홍아. 금홍아에서 시인 [[이상(작가)|이상]] 연기등으로 인상을 준 후 대표적인 출세작으로 2001년 방영한 [[태조 왕건]]. [[궁예]]의 냉정한 책사 [[종간]] 역을 맡으며 대중에게 확실하게 인식되었다. 이후의 연기도 훌륭하나, 종간 역만큼은 김갑수가 아니고서는 상상하기 어려운 캐릭터였다.
         || 2000년 || KBS1 || [[태조 왕건]] || [[종간#s-2.1]] || 조연 || 사망 ||
         || 2001년 || [[KBS 연기대상]] || 남자 우수연기상 || [[태조 왕건]] ||
  • 김석형 (역사학자) . . . . 3회 일치
         [[분류:1915년 태어남]][[분류:1996년 죽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역사가]][[분류: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학 교수]][[분류: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람]]
  • 김용준 (1904년) . . . . 3회 일치
         [[분류:1904년 태어남]][[분류:1967년 죽음]][[분류:일제 강점기의 화가]][[분류:일제 강점기의 미술 평론가]][[분류:대한민국의 미술 평론가]][[분류:일제 강점기의 교육인]][[분류:대한민국의 화가]][[분류:대한민국의 수필가]][[분류:대한민국의 대학 교수]][[분류: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화가]][[분류: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미술 평론가]][[분류: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학 교원]][[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
  • 서명선 . . . . 3회 일치
         [[분류:1728년 태어남]][[분류:1791년 죽음]][[분류:조선의 문신]][[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조선의 정치인]][[분류:대구 서씨]][[분류:과거 급제자]][[분류:영의정]][[분류:조선의 시인]]
  • 이성계 . . . . 3회 일치
          '''태조 이성계'''→[[정종]] 이방과
         --[[왕건]]과 함께 한국에서 태조라고 말하면 보통 떠올려지는 사람.--
         [[분류:조선 인물]]
  • 이영 (1494년) . . . . 3회 일치
         [[분류:1494년 태어남]][[분류:조선의 무신]][[분류:1563년 죽음]][[분류:조선의 군인]][[분류:조선의 정치인]][[분류:육군 군인]][[분류:병마절도사]][[분류:병사한 사람]][[분류:영천 이씨]][[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한국의 장군]]
  • 이진만 (1675년) . . . . 3회 일치
         [[분류:1675년 태어남]][[분류:1752년 죽음]][[분류:조선의 성리학자]][[분류:조선의 작가]][[분류:조선의 시인]][[분류:경상북도 출신 인물]]
  • 이진주 (1678년) . . . . 3회 일치
         [[분류:1678년 태어남]][[분류:1737년 죽음]][[분류:조선의 문신]][[분류:조선의 정치인]][[분류:조선의 작가]][[분류:과거 급제자]][[분류:우계 이씨]][[분류:경상북도 출신 인물]]
  • 이효린 . . . . 3회 일치
         [[분류:1540년 태어남]][[분류:1622년 죽음]][[분류:조선의 문신]][[분류:조선의 군인]][[분류:조선 의병장]][[분류:임진왜란]][[분류:우계 이씨]][[분류:경상북도 출신 인물]]
  • 장평도정 . . . . 3회 일치
         [[분류:생년 미상]][[분류:몰년 미상]][[분류:조선의 왕족]][[분류:조선의 문신]][[분류:전주 이씨]][[분류:조선 세종]][[분류:이승만]][[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
  • 장호 (1920년) . . . . 3회 일치
         [[분류:192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언론인]][[분류: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공작원]][[분류: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송환된 비전향 장기수]][[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
  • 정난정 . . . . 3회 일치
         [[분류:생년 미상]][[분류:1565년 죽음]][[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조선의 정치인]][[분류:윤원형]][[분류:음독 자살한 사람]][[분류:조선의 왕족]][[분류:조선의 불교 신자]][[분류:초계 정씨]]
  • 폐비 윤씨 . . . . 3회 일치
         [[분류:1455년 태어남]][[분류:1482년 죽음]][[분류:조선의 왕비]][[분류:폐위된 왕·황후]][[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경기도 출신]][[분류:사사된 사람]][[분류:무오사화 관련자]][[분류:함안 윤씨]][[분류:조선 성종]][[분류:조선 덕종]][[분류:15세기 한국 사람]]
  • 한규복 (1881년) . . . . 3회 일치
         [[분류:1881년 태어남]][[분류:1967년 죽음]][[분류:조선의 화가]][[분류:대한제국의 관료]][[분류:대한제국의 통역관]][[분류:조선의 번역가]][[분류:일제 강점기의 관료]][[분류:일제 강점기의 화가]][[분류:일제 강점기의 기업인]][[분류:일제 강점기의 정치인]][[분류:일제 강점기의 사회 운동가]][[분류:일제 강점기의 철학자]][[분류:조선총독부 중추원 간부]][[분류:사상가]][[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분류:대한민국의 화가]][[분류:대한민국의 언론인]][[분류:대한민국의 철학자]][[분류:친일파 708인 명단 수록자]][[분류:친일인명사전 수록자]][[분류:대한민국 정부 발표 친일반민족행위자]][[분류:청주 한씨]][[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와세다 대학 동문]][[분류:대한민국의 번역가‎]]
  • 한명진 (1426년) . . . . 3회 일치
         [[분류:1426년 태어남]][[분류:1454년 죽음]][[분류:조선의 문신]][[분류:조선의 정치인]][[분류:한명회]][[분류:정난공신]][[분류:조선의 군인]][[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병사한 사람]][[분류:청주 한씨]]
  • 한창수 . . . . 3회 일치
         [[분류:1862년 태어남]][[분류:1933년 죽음]][[분류:조선의 문신]][[분류:과거 급제자]][[분류:대한제국의 관료]][[분류:일제 강점기의 관료]][[분류:조선남작]]
         [[분류:조선총독부 중추원 간부]][[분류:친일파 708인 명단 수록자]][[분류:친일인명사전 수록자]][[분류:대한민국 정부 발표 친일반민족행위자]][[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청주 한씨]]
  • 한호문 . . . . 3회 일치
         [[분류:조선의 무신]][[분류:조선의 군인]][[분류:조선의 정치인]][[분류:음서]][[분류:청주 한씨]][[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한국의 장군]]
  • 현재덕 . . . . 3회 일치
         [[분류:1912년 태어남]][[분류:몰년 미상]][[분류:20세기 죽음]][[분류:일제 강점기의 삽화가]][[분류:일제 강점기의 동화작가]][[분류: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삽화가]][[분류: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동화작가]][[분류:아동미술가]][[분류:박헌영]][[분류:조선공산당의 정치인]][[분류:월북자]][[분류:친일인명사전 수록자]][[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경기고등학교 동문]][[분류:연주 현씨]]
  • 흥인군 . . . . 3회 일치
         [[분류:1815년 태어남]][[분류:1882년 죽음]][[분류:조선의 왕족]][[분류:조선의 문신]][[분류:운현궁]][[분류:조선의 정치인]][[분류:살해된 사람]][[분류:추락사한 사람]][[분류:대한제국의 황족]][[분류:유교 신자|이최응]][[분류:자유 연애|이최응]][[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덕흥대원군파]]
  • 김성겸(탤런트) . . . . 2회 일치
         키 183cm인 거구이며, [[태조 왕건]]의 [[아자개]] 역으로 잘 알려져 있다. 또한 [[최규하]] [[대한민국 대통령|대통령]] [[전문배우]]이다. 실제로 최규하 전 대통령과 외모, 체격이 비슷하기 때문이다. [[제4공화국(드라마)]], [[제5공화국(드라마)]], [[대한민국 정치비사]] 등에서 최규하 전 대통령을 연기하였다. 키 183cm면 2018년 기준으로도 어지간한 젊은이보다 큰 수준이다.
          * [[태조 왕건]] - [[아자개]]
  • 박주아(1942년) . . . . 2회 일치
         * [[한국방송공사|KBS]] 《[[태조 왕건 (드라마)|태조 왕건]]》([[2000년]])
  • 백이소 . . . . 2회 일치
         [[분류:1557년 태어남]][[분류:1597년 죽음]][[분류:조선의 무신]][[분류:의병]][[분류:의병장]][[분류:조선 의병장]][[분류:임진왜란 의병장]][[분류:정유재란 참전 중 사망자]][[분류:임진왜란 관련자]][[분류:정유재란 관련자]][[분류:16세기 한국 사람]].[[분류:백씨]][[분류:청도 백씨]][[분류:문천회맹]][[분류:경주시 출신 인물]]
  • 백일섭 . . . . 2회 일치
         * [[1970년]] 《[[태조 왕건 (영화)|태조 왕건]]》
  • 서거정 . . . . 2회 일치
         [[분류:1420년 태어남]][[분류:1488년 죽음]][[분류:대구 서씨]][[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과거 급제자]][[분류:장원 급제자]][[분류:조선의 문신]][[분류:조선의 학자]][[분류:김시습]]
  • 아기발도 우투리 관련설 . . . . 2회 일치
          * 아기발도는 조선의 태조 [[이성계]]의 대적자이다.
         아기발도 자체는 조선시대 초기에 사대부 계층에서 매우 유명한 인물이었는데, 이는 조선의 개창자인 태조 이성계의 대적자로 여겨졌기 때문이다. 아기발도 이야기는 "왜군 장수 아기발도는 강했다. 하지만 장군 이성계가 물리쳤다. 따라서 이성계의 권력에 정당성이 있다."는 줄거리로서, 전형적인 '외부의 위협'(아기발도)에 대항하는 '내부의 영웅'(이성계)을 강조하여 국가의 수호자로서 왕조의 정당성을 주장하는 정치적 바탕이 되었다.
  • 예천군 . . . . 2회 일치
          * [[태조(고려)|태조]] 18년 : 보주로 개칭.
  • 이대근 (조선) . . . . 2회 일치
         [[분류:생몰년 미상]][[분류:조선의 문신]][[분류:조선의 정치인]][[분류:경상북도 출신 인물]][[분류:우계 이씨]]
  • 이득윤 . . . . 2회 일치
         [[분류:1553년 태어남]][[분류:1630년 죽음]][[분류:충청북도 출신 인물]][[분류:조선의 음악가]][[분류:조선의 학자]][[분류:경주 이씨]]
  • 이숭인 . . . . 2회 일치
         고려 말기의 권신 [[이인임]], [[이인복]], 이인립, [[이인민]] 형제는 그의 5촌 당숙이었다. 그의 종형제이자 이인립([[이인임]]의 아우)의 아들인 [[이제 (여말선초)|이제]]는 [[조선 태조|이성계]]의 사위였다.
         성리학에 조예가 깊었고, 특히 시문(詩文)에 이름이 높았다. 명과의 외교 문제를 맡아 썼으며, 그의 명문장은 명 태조를 탄복시켰다. 저서로는 《도은선생시집》(흔히 《도은집》)이 있다.
  • 이정길(영화배우) . . . . 2회 일치
         또한 [[2009년]]에는 [[KBS 2TV]]의 [[수목 드라마]]에만 [[무려]] 3편을 연속해서 출연하셨다. ~~수목 드라마를 쉬지 않고 3번이나 했는데 그게 어떻게 가능하지?~~[* 당시 이정길은 [[꽃보다 남자]]에서 전직 대통령으로 출연한 직후 수목 드라마 [[파트너]]에서 이태조의 아버지이자 냉철한 로펌 대표 이진표를 맡았으며, 연이어 후속 드라마인 [[아가씨를 부탁해]]에서도 강혜나의 할아버지이자 손녀 바보인 강산그룹 회장 강만호를 맡았다. 이후 연이어 또 후속드라마 [[아이리스]]에 3차 남북정상회담을 진행하려고 하며 김현준에게 도움이 되고 또한 강인한 의지를 지닌 대통령 조명호 역을 맡았다. ~~알고 보면 이정길은 수목드라마 찍는 데 6개월정도 소요하신 것 같으며, 또 2009년에 드라마 찍는데는 9개월을 소요하신 것 같다.~~ ~~여기서는 냉철한 로펌대표였고, 후속에서는 손녀 바보 재벌 회장, 또 그 다음 후속에서는 주인공에게 도움이 되는 대통령~~]
         참고로 이정길은 [[파트너]]에 출연하고 후속드라마인 [[아가씨를 부탁해]]에 출연했으며 또 그 다음 후속작인 [[아이리스(드라마)|아이리스]]까지 계속 출연했다. 더불어서, 이정길은 [[이동욱]]이 분한 이태조 변호사의 아버지인 로펌 대표 이진표로 나왔으며 그리고 이로부터 2년 후 [[여인의 향기(2011)|여인의 향기]]에서도 역시 이동욱이 분한 강지욱의 아버지인 여행사 회장 강철만으로 나왔다.
  • 이평 (1572년) . . . . 2회 일치
         [[분류:과거 급제자]][[분류:조선의 문신]][[분류:조선의 유학자]][[분류:경상북도 출신 인물]][[분류:우계 이씨]]
  • 이한응 (1849년) . . . . 2회 일치
         [[분류:조선의 무신]][[분류:조선의 군인]][[분류:육군 군인]][[분류:과거 급제자]][[분류:대한제국 사람]][[분류:충청북도 출신 인물]][[분류:우계 이씨]]
  • 이호성 (대한제국) . . . . 2회 일치
         [[분류:1807년 태어남]][[분류:몰년 미상]][[분류:19세기 한국 사람]][[분류:조선의 문신]][[분류:조선의 정치인]][[분류:대한제국의 관료]][[분류:대한제국의 정치인]][[분류:음서]][[분류:과거 급제자]][[분류:서재필]][[분류:우봉 이씨]][[분류:충청북도 출신 인물]]
  • 임혁주 . . . . 2회 일치
         * 2000년 [[한국방송공사|KBS]] - 《[[태조 왕건 (드라마)|태조 왕건]]》 - [[박영규 (후백제)|박영규]] 역
  • 장인한 . . . . 2회 일치
         * 2000년 《[[태조 왕건 (드라마)|태조 왕건]]》- 왕거인 역 ([[KBS]])
  • 장헌식 . . . . 2회 일치
         [[분류:1869년 태어남]][[분류:1950년 죽음]][[분류:조선 사람]][[분류:대한제국의 관료]][[분류:일제 강점기의 관료]][[분류:조선총독부 중추원 간부]][[분류:군정기]][[분류:대한민국 사람]][[분류:친일파 708인 명단 수록자]][[분류:친일인명사전 수록자]][[분류:대한민국 정부 발표 친일반민족행위자]][[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인동 장씨]]
  • 정종 . . . . 2회 일치
         태조 [[이성계]]→'''정종 이방과'''→태종 [[이방원]]
         [[분류:조선 인물]]
  • 최석민 . . . . 2회 일치
         [[분류:1858년 태어남]][[분류:1915년 죽음]][[분류:조선의 문신]][[분류:대한제국의 관료]][[분류:조선남작]][[분류:친일파 708인 명단 수록자]][[분류:친일인명사전 수록자]][[분류:대한민국 정부 발표 친일반민족행위자]][[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경주 최씨]]
  • 한덕수 (1907년) . . . . 2회 일치
         [[분류:1907년 태어남]][[분류:2001년 죽음]][[분류:경상북도 출신 인물]][[분류:니혼 대학 동문]][[분류: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분류:재일 한국인]][[분류:최고인민회의 의장]][[분류:조선로동당]][[분류:최고인민회의 대의원]][[분류: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분류: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 중앙상임위원회 의장]]
  • 한성식 . . . . 2회 일치
         * [[2000년]] 《[[태조 왕건 (드라마)|태조 왕건]]》 ([[한국방송공사|KBS]])
  • 허종 (1939년) . . . . 2회 일치
         [[분류:193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분류: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외교관]][[분류:허정숙]][[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
  • 홍승목 . . . . 2회 일치
         [[분류:1847년 태어남]][[분류:1925년 죽음]][[분류:조선의 문신]][[분류:과거 급제자]][[분류:대한제국의 관료]][[분류:일제 강점기의 관료]][[분류:조선총독부 중추원 간부]][[분류:친일파 708인 명단 수록자]][[분류:친일인명사전 수록자]][[분류:대한민국 정부 발표 친일반민족행위자]][[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풍산 홍씨]]
  • 홍인한 . . . . 2회 일치
         [[분류:1722년 태어남]][[분류:1776년 죽음]][[분류:조선의 문신]][[분류:조선의 정치인]][[분류:과거 급제자]][[분류:가족 살해자]][[분류:사형된 사람]][[분류:독살된 사람]][[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풍산 홍씨]][[분류:노론]]
  • K리그 클래식/2014시즌 . . . . 1회 일치
         [[분류:조선시대 소설]]
  • 고종(조선) . . . . 1회 일치
         [[분류:조선 인물]]
  • 광해군 . . . . 1회 일치
         [[분류:조선 인물]]
  • 김경애(배우) . . . . 1회 일치
         * 2000년 《[[태조 왕건]]》
  • 김부식 . . . . 1회 일치
         김부식은 신라 왕실의 후예로 증조부인 김위영을 [[고려 태조]]가 경주(慶州)의 주장으로 임명하였다고 한다.<ref>《[[고려사]]》 권97, 열전10, 김부일전.</ref> 부친 김근이 좌간의대부로 관직에 진출하였으나 일찍 세상을 떠나 편모 슬하에서 성장하였다. 지위가 높은 가문이 아니었기 때문에 김부식과 그의 형제들은 [[과거]]를 통해 관직에 진출하였다.
  • 김선궁 . . . . 1회 일치
         원래 이름은 선(宣)으로 선궁이라는 이름은 [[일리천 전투]] 때에 [[고려]] 태조 왕건의 병사 모집에 고을의 [[아전]]으로써 응모해서 왕건으로부터 '''왕건 자신이 쓰던 [[활]]을 하사받고''' 이름을 선궁이라고 고치게 되었다고 한다.
  • 김제남 . . . . 1회 일치
         [[분류:조선 인물]]
  • 김처선 . . . . 1회 일치
         [[분류:세종특별자치시 출신 인물]][[분류:조선/인물]][[분류:1505년 사망]]
  • 김취경전 . . . . 1회 일치
         [[분류:조선시대 소설]][[분류:삼국시대 배경 창작물]]
  • 남치근 . . . . 1회 일치
         [[분류:조선 인물]]
  • 남효온 . . . . 1회 일치
         [[분류:조선 인물]]
  • 단종 . . . . 1회 일치
         [[분류:조선 인물]]
  • 문종 . . . . 1회 일치
         [[분류:조선 인물]]
  • 서림 . . . . 1회 일치
         [[분류:조선 인물]]
  • 서병조 . . . . 1회 일치
         [[분류:1882년 태어남]][[분류:1952년 죽음]][[분류:대한제국의 관료]][[분류:일제 강점기의 관료]][[분류:일제 강점기의 기업인]][[분류:조선총독부 중추원 간부]][[분류:친일파 708인 명단 수록자]][[분류:친일인명사전 수록자]][[분류:대한민국 정부 발표 친일반민족행위자]][[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구 서씨]]
  • 서상일 . . . . 1회 일치
         [[분류:1885년 태어남]][[분류:1962년 죽음]][[분류:병사한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반일 감정]][[분류:대한민국의 반공주의자]][[분류:조선의 사회 운동가]]
  • 서수민 . . . . 1회 일치
         [[분류:조선 인물]]
  • 선조 . . . . 1회 일치
         [[분류:조선 인물]]
  • 세조 . . . . 1회 일치
         [[분류:조선 인물]]
  • 세종 . . . . 1회 일치
         [[분류:조선 인물]]
  • 송지효 . . . . 1회 일치
         [[분류:조선 인물]]
  • 신애라 . . . . 1회 일치
         [[분류:조선 인물]]
  • 신형철 . . . . 1회 일치
         [[분류:1976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문학 평론가]][[분류:조선대학교 교수]][[분류:서울대학교 인문대학 동문]][[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
  • 아기발도 . . . . 1회 일치
         조선왕조실록 태조실록에는 "보기에는 나이가 겨우 15, 6세 되었는데, 골격과 용모가 단정하고 고우며 사납고 용맹스러움이 비할 데가 없었다"고 서술되어 있다.
  • 안평대군 . . . . 1회 일치
         [[분류:조선 인물]]
  • 여태조 . . . . 1회 일치
         하지만 전열을 가다듬고 산악지대에서 유격전으로 일관한 결과 명으로 부터 독립을 쟁취하는데 성공했다. 이후 대월을 다시 건국하고 여왕조를 열어 초대 황제 태조로 등극하게 된다.
  • 영창대군 . . . . 1회 일치
         [[분류:조선 인물]]
  • 예종 . . . . 1회 일치
         [[분류:조선 인물]]
  • 오기노 쿄우사쿠 . . . . 1회 일치
         여성의 생리 주기를 연구하여, 배란기와 임신가능한 기간에 대한 학설을 발표, 임신수태조절이 응용되는 오기노학설(荻野学説)을 제창했다. 그의 업적을 기려 일본에서는 배란주기를 이용한 피임법을 오기노식(オギノ式)이라고 부른다.
  • 외척 . . . . 1회 일치
         고려 태조 왕건은 각지의 호족과 결혼동맹을 맺어 수십 명의 아내를 두었다. 이 때문에 엄청난 수의 호족들이 외척이 되면서 외척 세력 간의 항쟁이 심각하게 벌어졌다.
  • 육미당기 . . . . 1회 일치
         [[분류:조선시대 소설]][[분류:삼국시대 배경 창작물]]
  • 윤진솔 . . . . 1회 일치
         [[분류:1990년 태어남]][[분류:대구광역시 출신]][[분류:슈퍼스타K 참가자]][[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조선대학교 동문]][[분류:동아방송예술대학교 동문]][[분류:비디오 자키]][[분류:대한민국의 여자 가수]][[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뮤지컬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
  • 이경영(1960) . . . . 1회 일치
         2001년에 [[이요원]]과 같이 출연한 드라마 《푸른 안개》에서 나이차이가 많이 나는 아가씨와 플라토닉 러브를 나누는 유부남 역을 맡아서 화제가 되면서 어느 정도 재기에 성공했나 싶었으나[* 이 작품은 2001년 12월 열린 제 14회 한국방송작가상 드라마 부문 최종 후보에 올랐으나 "삼각관계라는 구태의연한 공식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한번 드라마 작가상(집필자 이금림 작가가 SBS [[은실이]]로 12회(99년 12월 개최) 드라마 부문 수상)을 받은 사람은 다시 받을 수 없다"는 규정에 걸려 탈락했고 결국 제 14회 한국방송작가상 드라마 부문 수상작은 KBS 1TV 대하사극 [[태조 왕건]]으로 낙착되었다. 참고로 이 작품에서 철원성주 역으로 나온 [[송영창]]은 이경영이 그랬던 것처럼 사회적 물의(둘 다 청소년 성보호법 위반)를 일으켜서 KBS 출연금지 명단에 올라 있으며 이경영이 출연한 드라마인 <푸른 안개> <은실이>는 이경영 신상 문제(청소년 성보호법 위반) 탓인지 3사에서 틀지 못한다.]...
  • 이근택(1865) . . . . 1회 일치
         [[분류:친일반민족행위자]][[분류:대한제국의 군인]][[분류:충주시 출신 인물]][[분류:을사오적]] [[분류:1865년 출생]][[분류:1919년 사망]] [[분류:조선의 반란자]]
  • 이방원 . . . . 1회 일치
         [[분류:조선 인물]]
  • 이상백 (1904년) . . . . 1회 일치
         [[일제 강점기]] 당시 서자들을 차별대우하는 문제인 '서얼차대(庶孽差待)의 연원에 대한 일문제'를 [[진단학회]] 학보에 기고한 것을 시작으로, [[조선]] 전기와 건국 초기 분야에 대한 것을 연구하였다. 그는 '삼봉인물고(三峰人物考)', 이조 태조의 사전개혁운동(私田改革運動)과 건국 후의 실적, 위화도회군고(威化島回軍考), '우창비왕설(禑昌非王說)에 취하여', '[[고려]]말 이조초에 있어서의 이성계 일파의 전제개혁운동(田制改革運動)과 그 실적' 등 고려 말, 조선 건국, 조선 전기 분야의 정치, 사회적인 현상에 대한 연구와 분석을 시도하였다.
  • 이상화 (시인) . . . . 1회 일치
         [[분류:1901년 태어남]][[분류:1943년 죽음]][[분류:20세기 한국 사람]][[분류:사상가]][[분류:대한제국의 사회 운동가]][[분류:이범석 (1900년)]][[분류:박헌영]][[분류:일제 강점기의 시인]][[분류:일제 강점기의 소설가]][[분류:일제 강점기의 문학 평론가]][[분류:일제 강점기의 스포츠 평론가]][[분류:일제 강점기의 언론인]][[분류:일제 강점기의 권투 선수]][[분류:일제 강점기의 교육인]][[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경주 이씨]][[분류:염상섭]][[분류:유교 신자]][[분류:대구광역시 출신]][[분류:위암으로 죽은 사람]][[분류:결핵으로 죽은 사람]][[분류: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가동맹 작가]][[분류:김성수 (1891년)]][[분류:박중양]][[분류:대륜중학교 동문]][[분류:20세기 시인]]
  • 이시영 (1882년) . . . . 1회 일치
         [[분류:1882년 태어남]][[분류:1919년 죽음]][[분류:옥사한 사람]][[분류:병사한 사람]][[분류:조선 사람]][[분류:일제 강점기의 교육인]][[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분류:경주 이씨]][[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
  • 이영 (1492년) . . . . 1회 일치
         [[분류:1492년 태어남]][[분류:1593년 죽음]][[분류:조선의 유학자]][[분류:은자]][[분류:경상북도 출신 인물]]
  • 이인 . . . . 1회 일치
         [[분류:1896년 태어남]][[분류:1979년 죽음]][[분류:대한민국의 반일 감정]][[분류:대한민국의 반공주의자]][[분류:19세기 한국 사람]][[분류:20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대한제국의 유학자]][[분류:유교 신자]][[분류:일제 강점기의 대학 교수]][[분류:일제 강점기의 법조인]][[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분류:조선어학회 사건]][[분류:한국의 군정기]][[분류:대한민국의 한국 전쟁 관련자]][[분류:대한민국의 저술가]][[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분류:대한국민당 (1948년) 당원]][[분류:한국독립당]][[분류:신민당]][[분류:대한민국의 법조인]][[분류:대한민국의 법무부 장관]][[분류:이승만 정부의 국무위원]][[분류:대한민국 제1공화국]][[분류:대한민국 제2공화국]][[분류:대한민국 제3공화국]][[분류:이범석 (1900년)]][[분류:대한민국 제4공화국]][[분류:이승만| ]][[분류:메이지 대학 동문]][[분류:니혼 대학 동문]][[분류:경주 이씨]][[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
  • 이장경 . . . . 1회 일치
         [[이백년]]의 아들이자 손자 [[이인기]]는 평양부 부윤이었고, 고손자(아들 이백년의 증손)는 [[포은]] [[정몽주]]의 제자이자 [[고려]] 멸망 이후 두문불출한 절신 [[이숭인]]이었다. 이인립(李仁立)의 아들이자 이장경의 고손자인 이제(李濟)는 [[조선 태조]] [[이성계]]의 사위가 되어 조선 왕실과도 인척관계가 되었다.
  • 이장우 (1871년) . . . . 1회 일치
         [[분류:1871년 태어남]][[분류:1944년 죽음]][[분류:대한제국의 군인]][[분류:일제 강점기의 관료]][[분류:일제 강점기의 기업인]][[분류:조선총독부 중추원 간부]][[분류:친일인명사전 수록자]][[분류:대한민국 정부 발표 친일반민족행위자]][[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
  • 이휘향 . . . . 1회 일치
         [[분류:조선 인물]]
  • 인조 . . . . 1회 일치
         [[분류:조선 인물]] [[분류:동음이의어]]
  • 장도 (1876년) . . . . 1회 일치
         [[분류:한국의 법학자]] <!-- 1906년 《형법론총칙》 -->[[분류:일제 강점기의 관료]][[분류:일제 강점기의 법조인]][[분류:일제 강점기의 법학자]][[분류:형법학자]][[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분류:조선총독부 중추원 간부]][[분류:친일파 708인 명단 수록자]][[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주오 대학 동문]][[분류:덕수 장씨]][[분류:실종자]]
  • 장민호 (1962년) . . . . 1회 일치
         [[분류:1962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미국의 기업인]][[분류: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동문]][[분류:대한민국의 간첩 사건]][[분류:대한민국의 학생 운동]][[분류:반전 운동]][[분류:한국계 미국인]][[분류: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국통일상 수상자]]
  • 장성원 (배우) . . . . 1회 일치
         [[분류:조선 인물]]
  • 장성환 . . . . 1회 일치
         [[분류:1920년 태어남]][[분류:2015년 죽음]][[분류:일제 강점기의 군인]][[분류:대한민국의 한국 전쟁 참전 군인]][[분류:대한민국의 공군참모총장]][[분류:일본에 거주한 대한민국인]][[분류:태국 주재 대한민국 대사]][[분류:대한민국의 교통부 장관]][[분류:20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21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대한민국의 공공기관장]][[분류:박정희 정부의 국무위원]][[분류:친일인명사전 수록자]][[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육군사관학교 동문]][[분류:공군사관학교 동문]][[분류:조선경비보병학교 동문]][[분류:육군보병학교 동문]][[분류:공군방공포병학교 동문]][[분류:기후 대학 동문]][[분류:도야마 대학 동문]][[분류:육군대학교 동문]][[분류:국방연구원 동문]][[분류:국방대학원 동문]][[분류:와세다 대학 동문]][[분류:대한민국 공군 중장]][[분류:자유민주연합 당원]][[분류:대한민국의 공군무관]]
  • 장영 (조선) . . . . 1회 일치
         [[분류:1622년 태어남]][[분류:1705년 죽음]][[분류:조선의 문신]][[분류:과거 급제자]][[분류:경상북도 출신 인물]]
  • 장지영 . . . . 1회 일치
         [[분류:1889년 태어남]][[분류:1976년 죽음]][[분류:대한민국의 언어학자]][[분류:한글학자]][[분류:일제 강점기의 언어학자]][[분류: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인동 장씨]][[분류:조선어학회 사건]]
  • 전태일 . . . . 1회 일치
         {{인용문2|존경하시는 대통령 각하 옥체 안녕하시옵니까? 저는 제품(의류) 계통에 종사하는 재단사입니다. 각하께선 저들의 생명의 원천이십니다. 혁명 후 오늘날까지 저들은 각하께서 이루신 모든 실제를 높이 존경합니다. 그리고 앞으로도 길이길이 존경할 겁니다. 삼선개헌에 관하여 저들이 알지 못하는 참으로 깊은 희생을 각하께선 마침내 행하심을 머리 숙여 은미 합니다. 끝까지 인내와 현명하신 용기는 또 한번 밝아오는 대한민국의 무거운 십자가를 국민들은 존경과 신뢰로 각하께 드릴 것입니다.<br><br>...(이하 중략)...<br><br>저의 좁은 생각 끝에 이런 사실을 고치기 위하여 보호기관인 노동청과 시청 내에 있는 근로감독관을 찾아가 구두로써 감독을 요구했습니다. 노동청에서 실태조사도 왔었습니다만 아무런 대책이 없습니다. 1개월에 첫 주와 삼 주 2일을 쉽니다. 이런 휴식으로썬 아무리 강철같은 육체라도 곧 쇠퇴해 버립니다. 일반 공무원의 평균 근무시간 일주 45시간에 비해 15세의 어린 시다공들은 일주 98시간의 고된 작업에 시달립니다. 또한 평균 20세의 숙련 여공들은 6년 전후의 경력자로써 대부분이 햇빛을 보지 못한 안질과 신경통, 신경성 위장병 환자입니다. 호흡기관 장애로 또는 폐결핵으로 많은 숙련 여공들은 생활의 보람을 못 느끼는 것입니다.<br><br>응당 기준법에 의하여 기업주는 건강진단을 시켜야 함에도 불구하고 법을 기만합니다. 한 공장의 30여명 직공 중에서 겨우 2명이나 3명 정도를 평화시장주식회사가 지정하는 병원에서 형식상의 진단을 마칩니다. X레이 촬영 시에는 필림도 없는 촬영을 하며 아무런 사후 지시나 대책이 없습니다. 1인당 3백 원의 진단료를 기업주가 부담하기 때문입니까? 아니면 전부가 건강하기 때문입니까? 나라의 경제 발전을 위해서는 어쩔 수 없는 실태입니까? 하루 속히 신체적으로 정신적으로 약한 여공들을 보호하십시오. 최소한 당사들의 건강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 정도로 만족할 순진한 동심들입니다. 각하께선 국부이십니다. 곧 저희들의 아버님이십니다. 소자된 도리로써 아픈 곳을 알려 드립니다. 소자의 아픈 곳을 고쳐 주십시오. 아픈 곳을 알리지도 않고 아버님을 원망한다면 도리에 틀린 일입니다.<br><br>저희들의 요구는 1일 14시간의 작업시간을 단축하십시오.<br>1일 10시간 - 12시간으로, 1개월 휴일 2일을 일요일마다 휴일로 쉬기를 희망합니다.<br>건강진단을 정확하게 하여 주십시오.<br>시다공의 수당 현 70원 내지 100원을 50%이상 인상하십시오.<br><br>절대로 무리한 요구가 아님을 맹세합니다. 인간으로서의 최소한의 요구입니다. 기업주 측에서도 충분히 지킬 수 있는 사항입니다.<ref>권태억, 《근현대 한국 탐사》 (역사비평사, 2007) 398~400페이지</ref>}}
  • 정만조 . . . . 1회 일치
         [[분류:1858년 태어남]][[분류:1939년 죽음]][[분류:과거 급제자]][[분류:조선의 유학자]][[분류:대한제국의 관료]][[분류:친일파 708인 명단 수록자]][[분류:친일인명사전 수록자]][[분류:대한민국 정부 발표 친일반민족행위자]][[분류:개화파]][[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
  • 정재학 (1856년) . . . . 1회 일치
         [[분류:1856년 태어남]][[분류:1940년 죽음]][[분류:대한제국의 관료]][[분류:일제 강점기의 관료]][[분류:일제 강점기의 기업인]][[분류:조선총독부 중추원 간부]][[분류:친일파 708인 명단 수록자]][[분류:친일인명사전 수록자]][[분류:대한민국 정부 발표 친일반민족행위자]][[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
  • 조선활자본 삼국지통속연의 . . . . 1회 일치
         [[분류:조선시대 소설]][[분류:삼국지연의]]
  • 차금봉 . . . . 1회 일치
         [[분류:1898년 태어남]][[분류:1929년 죽음]][[분류:한국의 옥사한 사람]][[분류:고문 피해자]][[분류:일제 강점기의 사회주의자]][[분류:일제 강점기의 공산주의자]][[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조선공산당의 정치인]]
  • 청도군 . . . . 1회 일치
         [[고려]] 시대였던 940년(태조 23) 오악현, 형산현, 소산현을 통폐합하여 청도군이라 하였다가 밀성군에 속하게 하였다. 1366년(공민왕 15)에 청도군이 되었다.
  • 최남선 . . . . 1회 일치
         [[분류:1890년 태어남]][[분류:1957년 죽음]][[분류:일제 강점기의 역사가]][[분류:일제 강점기의 시인]][[분류:일제 강점기의 언론인]][[분류:일제 강점기의 출판인]][[분류:일제 강점기의 번역가]][[분류:일제 강점기의 관료]][[분류:일제 강점기의 공작원]][[분류:일제 강점기의 전문학교 교수]][[분류:조선총독부 중추원 간부]][[분류:만주국 관련자]][[분류:대한민국의 시인]][[분류:대한민국의 언론인]][[분류:대한민국의 출판인]][[분류:대한민국의 별정직공무원]][[분류:유교 이탈자]][[분류: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교도]][[분류:대한민국의 한문학자]][[분류:민족대표 48인]][[분류:친일파 708인 명단 수록자]][[분류:친일인명사전 수록자]]
  • 최지우(영화배우) . . . . 1회 일치
         [[분류:조선 인물]]
  • 최학봉 . . . . 1회 일치
         [[분류:조선의 음악가]][[분류:일제 강점기의 국악인]][[분류:1856년 태어남]][[분류:몰년 미상]][[분류:20세기 죽음]][[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
  • 퇴계 이황 . . . . 1회 일치
         [[분류:조선 인물]][[분류:유학자]]
  • 하동부대부인 . . . . 1회 일치
         [[분류:1522년 태어남]][[분류:1567년 죽음]][[분류:부대부인]][[분류:도정궁 주인]][[분류:운현궁]][[분류:덕흥대원군파]][[분류:하동 정씨]][[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조선 선조]]
  • 한징 . . . . 1회 일치
         [[분류:1886년 태어남]][[분류:1944년 죽음]][[분류:한국의 옥사한 사람]][[분류:일제 강점기의 언어학자]][[분류:조선어학회 사건]][[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
  • 한충 (조선) . . . . 1회 일치
         [[분류:1486년 태어남]][[분류:1521년 죽음]][[분류:조선의 문신]][[분류:과거 급제자]][[분류:충청북도 출신 인물]][[분류:암살된 사람]]
  • 허위 . . . . 1회 일치
         [[분류:조선 의병장]][[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구미시 출신 인물]]
  • 현석문 . . . . 1회 일치
         [[분류:1797년 태어남]][[분류:1846년 죽음]][[분류:연주 현씨]][[분류:조선 사람]][[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참수된 사람]][[분류:한국의 로마 가톨릭 성인]][[분류:19세기 기독교 성인]]
  • 홍석형 . . . . 1회 일치
         [[분류:1936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풍산 홍씨]][[분류:홍명희]]
  • 황부인전 . . . . 1회 일치
         [[분류:조선시대 소설]]
12544의 페이지중에 151개가 발견되었습니다 (5000개의 페이지가 검색됨)

여기을 눌러 제목 찾기를 할 수 있습니다.